[프로젝트 가이드] 구수하堂과 함께하는 ‘어울림’ 밥상

지역생활실험실055
발행일 2024.01.20. 조회수 178
프로젝트명 : 구수하堂과 함께하는 ‘어울림’ 밥상
#지속가능#생물다양성#식량자급#재발견#되살림#지혜#집단지성#통합#연결#균형

프로젝트 팀 : 구수하堂 (집 당)

프로젝트 소개
  • 우리땅의 식량작물(통곡물,두류)을 이용하여 구수한 맛과 영양이 살아있는 현대인의 일상에서 주식(主食)이 되는 지속가능한 밥상문화를 연구,개발,공유합니다. 
  • 생태계위기의 시대에 각자의 방법으로 지구를 돌보는 활동가와 *농부들을 연결합니다. (*탄소농업,토종씨앗,자연재배,퍼머컬쳐,친환경 지역농가 등)
  • 지속가능한 밥상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하여 자연식물식기반의 발효 및 전통 식문화를 현대의 문화와 통합하여 자연간편식을 개발합니다. 
  • 곡물자급률,토종씨앗,생태농부의 다양성과 가치를 다양한 시민들과 공유하며 나눕니다.

팀 소개
구수하堂의 팀원들은 서로 다른 지역(밀양,부산,창원)에서 지속가능한 삶, 생물다양성 보존 및 복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기획, 연결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각 팀원들은 기후위기로 인해 전지구적 협력이 필요한 시대라는 인식으로부터 함께 지혜로운 대안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가까이에서부터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를 연결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일상을 지향합니다.  
  • 혜리> 지속가능한 농업을 기반으로 더불어 상생할 수 있는 문화연결에 진심 
  • 밀라> 지역과 일상의 생태전환, 비건과 제로웨이스트, 자연과의 연결성 높이기에 골몰
  • 성희> 비건의 지속가능한 한끼, 농부와 소비자의 연결에 진심
  • 허브> 착취없는 비건세상, 먹거리 자립을 위한 퍼머컬쳐, 땅을 살려 생명을 구하는데 열성

바라는 변화
  • 자연과 단절 되어 온 나의 몸과 마음 그리고 모든 생명들과의 관계를 회복
  •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하여 일상에서의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협력할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 형성
  •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위한 커뮤니티 형성으로 지혜롭고 즐거운 대안적 지역문화의 다양성 만들기 

목표 또는 지표 (바라는 변화를 어떻게 달성하고, 확인할 수 있나요?)
  • 내몸에 맞는 밥상문화의 재발견 및 되살림
  • 온, 오프라인 지역에서 닿을 수 있는 배움이 일어날 수 있는 만남의 장(場) 형성
  • 다양한지역에서 다양한 파생활동 장려가능
  • 삶의 생태적 전환의 가치와 즐거움을 지역주민과 함께 나눔
  • 기후위기시대 탄소중립을 비롯한 삶의 생태적 전환의 실천방법 공유
  • 미래의 환경과 인류의 건강을 위한 지속가능한 식문화 만들기
  • 지속가능한 대안적 삶을 위한 지역전통문화 발굴 및 복원
  • 채식은 단순한 식단이 아닌 환경과 건강, 동물복지를 위한 문화임을 이해

사용자 경험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경험을 할 수 있을까요?)
  1. 지역에서 활동하는 자연을 연결하는 농부 
  2. 땅을 가지지 못했지만 자연과의 연결을 원하는 사람들(밥상농부)
  3. 더불어 살아가는 가치를 실천하고 있는 지역민
  4. 전통 식문화를 이어가고 있는 장인
  5. 프로젝트의 가치에 공감하는 누구나

프로젝트 내용(수정된 내용 작성)
우리 땅에서 자라난 곡물의 재발견 및 보급연구, 바쁜 현대인을 위한 통곡물 영양간편식 개발 및 공유

1. 구수하당~ 우리곡물~🌾
지속 가능한 농업의 지역모델 및 농부를 발굴하여, 식량자급률에 이바지하는 우리땅의 식량작물(통곡물,두류)을 활용한 한끼식사 메뉴 연구 및 개발 (EX.보글말랑)

2. 어울림場(장)
구수하당 메뉴 연구, 개발의 중간 공유회
1)프로젝트과정 공유 및 시식회 
2)農(농)살림 강연

3.구수하場(장)! 
구수하당의 메뉴 연구, 개발의 최종 공유회로 프로그램의 취지에 공감하고 알고싶은 누구나 함께 모여 이야기 공유 
1) 팝업식당 
2)구수하場터 
3)생태인문학 강연 및 어울림공연 

4.너도나도 구수하堂 ~
SNS를 활용하여 지속해서 연결 가능한 사람과 공유, 소통하는 문화 이어가기
1)‘어울림밥상’ 일주일 챌린지 2)찾아가는 구수하堂

진행과정 (월별 진행계획과 진행된 내용 작성)
  • 1월
<온라인 아카이빙>
-SNS 활동 기반구축
-구수하당 프로젝트 디자인 
-SNS 홍보 컨텐츠 영상기획 및 제작 
<제품-원재료선정>
-생태농부 및 원재료 선정
<제품-연구개발>
-시제품 테스트 및 참조모델 선정
-통곡발효 레시피연구1 .소스
-통곡발효 레시피연구2.증편
-통곡발효 레시피연구3.두유요거트
  • 2월
<온라인 아카이빙>
- SNS 홍보 컨텐츠 영상제작 및 공유
-구수하당 홍보물 디자인 
- 토종,통곡 전시물 디지털 작업

<제품-원재료선정>
-생태농가탕방 및 원재료 특성조사

<제품-연구개발>
-통곡발효 레시피연구2-1.증편
-통곡발효 레시피연구3-1.두유요거트
-통곡발효 레시피연구4.볶음통곡식

<행사>
- 통곡발효 워크숍<이론/실습>
- 너도나도 보글말랑 일주일챌린지_1차 
  • 3월
<온라인 아카이빙>
-구수하당 디자인 기획 및  제작
- SNS 홍보 컨텐츠 제작 및 공유
- 토종,통곡 전시물 디지털 작업

<제품-원재료선정>
-생태농가탕방 및 원재료 특성기록

<제품-연구개발>
-통곡발효 레시피연구2-2증편_확장
-통곡발효 레시피연구3-1.두유요거트_확장

<행사> 
- 구수하장 준비 및 운영
(팝업어울림밥상/ 토종곡물 및 씨앗전시 및 체험/
너도나도 보글말랑 일주일챌린지_2차/생태인문학
강연 및 공연 / 지역생태농부장터)

홍보 채널 (프로젝트의 내용은 어떻게 알리고, 소식을 전달할까요?)


예상되는 걸림돌과 대안
각자의 방법으로 다양한 실천방안들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현대 도시문화는 대부분 단절된 자연과의 관계 속에서 지속가능한 밥상을 위한 밥상농부로서의 실천의 어려움 또한 체감할 수 있습니다. 이에 중간 다리의 역할의 중요성을 다시금 인식하여 가까운 지역에서 쉽게 닿을 수 있도록 다양하고 지속적인 활동들을 이어나가며 온,온라인 커뮤니티 활성화로 지역간 소통의 장을 열어보려합니다. 또한 각 분야의 전문지식을 통합하여 전통과 현대의 지혜를 조화롭게 배워 현시대의 대안들을 함께 만들어나가려 합니다. 생태농업을 실천하는 농부가 소수지만, 밥상농부간, 지역간에 생태농업으로 연결된 관계로 더욱 속 깊은 협력과 관계가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필요한 협력
개발할 레시피를 보급하는데 있어 보다 전문적인 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프로그램의 가치에 공감하는 지역의 소상공인과 협력하여 컨설팅을 겸하여 더불어 상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지역의 연결을 인프라로 하여 전통문화 및 식문화를 이어가고 있는 장인 및 전문가와 협업하여 기본(뿌리)부터 이해하는 식문화와 메뉴개발을 하면 좋겠습니다. 누구라도 매일 마주하는 식탁에서 지구생명, 나아가 가까운 이웃을 함께 돌볼 수 있기를 바라며 지역의 다양한 사람들과 가치를 나누기를 희망합니다. 

댓글 (3)

저도 비슷한 고민을 안고 여러 시도를 진행 중에 있어서 남일 같지 않네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건강한 레시피와의 연결 기대됩니다 !!

우리 작물을 활용한 레시피와 활동, 정말 필요한 활동이라고 생각합니다~ 통곡발효 레시피 기대하겠습니다!